▶역사/▷고사성어

양두구육 뜻과 유래

알풀레드 2022. 7. 27. 22:38
반응형

양두구육(羊頭狗肉)이라는 고사성어가 화제가 되고 있다. 양두구육의 한자뜻을 그대로 해석하면 양의 머리를 내걸고 개고기를 판매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즉, 겉으로는 좋아 보이지만 속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두구육과 비슷한 고사성어는 표리부동, 권상요목, 면종복배 등이 있다. 

 

양 양(羊), 머리 두(頭), 개 구(狗), 고기 육(肉)

 

반응형

 

양두구육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춘추시대 제나라 영공이 총애하는 첩인 융자가 남장을 하고 다님에 따라 유행이 되었다. 이에 나라에서는 남장 풍습을 금하려고 하였으나 좀처럼 유행을 제지하기 힘들었다. 영공은 공자의 제자로 명망 높은 안영에게 왜 유행을 금지하기가 힘든지에 대해 물었고, 안영은 궁중에서는 남장을 허용하면서 민간에서 남장을 금하니 "문밖에는 소머리를 걸어두고 안에서는 말고기를 파는 것과 같다"라고 답했다. 

 

출처. 묵공

 

이말을 들은 영공은 즉시 궁중 여인의 남장 풍습을 금했다. 궁중 여인들의 남팡 풍습이 사라지자 민간에서도 남장 풍습이 사라지게 되었다고 한다. 원전에서는 소머리와 말고기가 등장하지만 여러 시대를 거쳐가면서 소고기가 양고기로, 말고기가 개고기로 바뀌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