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륵(鷄肋)(+뜻, 유래)
삼국지에 계륵(鷄肋)이라고 하는 고사성어가 등장한다. 계륵은 삼국지 위서 무제기의 배송지 주에서 인용한 구주춘추에 등장한다. 계륵을 직역하면 '닭갈비'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닭갈비는 부드럽고 쫄깃해 맛은 있지만 살을 발라 먹으려면 매우 귀찮고 양도 얼마 되지 않는다. 즉, 이런 닭갈비의 특성을 반영하여 '굳이 먹자니 싫고, 그렇다고 남에게 주자니 아깝다'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닭 계(鷄), 갈비 륵(肋)
배송지의 주석 구주춘추에 등장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왕이 환군하고자 하여 '계륵'이라는 영을 내리니 관속들은 무슨 뜻인지 몰랐다. 주부 양수가 스스로 군장을 엄히 꾸리니 사람드링 놀라 양수에게 물었다. '그 뜻을 어떻게 알았습니까?'이에 양수는 '무릇 계륵은 버리기에는 아깝고 먹기에는 얻을 것이 없는 것으로 이를 위왕께서는 한중에 비유한 것입니다'라고 답했다.
삼국지 연의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조조는 유비가 천하삼분지계에 의거하여 유장이 다스리던 파촉 지방을 점령하고 한중을 침략하였다. 촉에서 한중으로 가는 루트는 위나라가 방어하기 위해 지원을 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점차 전황이 불리해졌다. 결국 조조는 한중을 포기할 것인지 혹은 지속적으로 전선을 유지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을 한다. 그리고 그날 저녁 식사에 닭고기국이 나왔는데, 조조는 그 닭갈비를 보고 한탄했다. 한중을 점령하더라도 투자한 병력과 물자에 비해 이익이 없다고 느꼈지만 그렇다고 유비에게 한중을 주자니 아까웠던 것이다. 이때 하후돈이 조조에게 와 오늘의 암호가 무엇인지 물어보았고 조조는 무심코 계륵이다고 말했다.
하후돈은 병사들에게 오늘의 암호는 계륵이라고 전했고, 이를 들은 모사 양수는 조조의 생각을 간파해 하후돈에게 미리 군사를 물릴 준비를 하라고 일렀다. 조조는 자신의 생각을 읽고 명령을 하기 전에 행동을 옮긴 양수에게 불쾌함을 느껴 군의 사기를 동요한 죄로 처형했다. 하지만 전황이 계속해서 불리해짐에 따라 조조는 군사를 물렸고, 양수만 억울한 죽음을 맞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