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차2 와신상담 뜻, 유래, 한자 풀이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와 월나라 간의 싸움에서 전해진 고사성어인 와신상담에 대해 살펴보자. 춘추시대 오나라와 월나라는 국경이 접해 있어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와신상담이라는 고사성어가 등장하게 되는데 우선 한자의 뜻을 먼저 살펴보자. 臥(누울 와), 薪(섶나무 신), 嘗(맛볼 상), 膽(쓸개 담) 와신상담을 직역해보면, '섶나무(땔감)에 웁고, 쓸대를 맛본다'로 해석된다. 즉 '어떠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다가오는 어떠한 고난도 참고 이겨낸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고사성어의 유래를 살펴보면 이해가 쉬운데, 원한을 갚기 위해 극도의 고통을 이겨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합려는 부국강병 정책으로 오나라를 강대국으로 변모시켰다. 그리고 초나라 원정길에 올라 수도 영까지 점령하였으나 진나라와 .. 2022. 1. 10. 춘추오패 오나라 합려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의 제24대 군주이자 제6대 왕 합려라는 인물에 대해 살펴보자. 오왕 합려는 춘추오패의 일인으로 오자서와 손무 등을 등용하여 오나라의 전성기를 누렸으나 그의 죽음 이후 몰락하게 된 결과를 초래하였다. 학자에 따라서 춘추오패를 오왕 합려가 포함되기도 하고 그의 아들인 오왕 부차나 월왕 구천 등을 넣기도 한다. 합려의 성은 희이고, 휘는 광으로 공자광 혹은 합려로 불린다. 합려가 오나라의 왕으로 즉위하기 전 오나라의 왕위 계승에 상당히 문제가 있었다. 오나라에서 최초로 왕을 칭했던 수몽에게 4명의 아들이 있었다. 그중 넷째 아들 계찰은 현인으로 명성이 높아 수몽은 계찰을 왕으로 세우고 싶어 했다. 하지만 계찰은 형이 왕위에 올라야 한다고 사양했고, 첫째 아들인 제번이 왕위에 올랐다. 형제.. 2022. 1.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