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고사성어24 포락지형의 뜻과 유래 포락지형(炮烙之刑)... 이 용어는 중국의 상고시대 상나라(은나라) 마지막 왕인 주왕과 달기에 의해 생겨난 고사성어이다. 상나라에는 매우 잔혹한 형벌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형벌을 만들게 되는데 우선 아래 한지의 뜻을 살펴보자. 炮(통째로 구울 포), 烙(지질 락), 之(의 지), 刑(형벌 형) 포락지형을 직역하면 통째로 구운 쇠 위에 사람이 건너게 하는 형벌을 의미한다. 이러한 포락지형이 나온 유래는 다음과 같다. 상나라(은나라) 말기 사회는 매우 혼란스러웠다. 백성들은 가혹한 세금과 공물을 바쳐야 했기 때문에 힘든 삶을 영위하였다. 정치적으로는 주왕 주변에 간신들이 득세하고, 특히 미녀 달기 때문에 사치와 향락을 누리며 시간을 보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충신들은 주왕이 정신을 .. 2021. 12. 13. 주지육림의 뜻과 유래 주지육림.. 이 용어는 중국의 상고시대 하나라와 상나라가 멸망하기 전 폭군이 등장하면서 쓰인 고사성어다. 하나라 최후의 왕 걸왕과 상나라 최후의 왕 주왕이 만들었다고 알려진 연회장과 관련이 깊다. 먼저 한자를 살펴보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酒(술 주), 池(연못 지), 肉(고기 육), 林(수풀 림) 주지육림을 직역하면 "술로 된 연못과 고기로 된 숲"으로 직역된다. 중국 역사의 교과서로 불리는 사마천의 '사기' '은본기'에는 '以酒為池,縣肉為林,使男女裸相逐其閒,為長夜之飲(나무위키 참고)'라고 되어 있으며, 이를 해석하면 '술로 연못을 만들고, 숲에 고기를 매달고, 남녀로 하여금 벗고 그 사이에서 서로 놀면서, 밤새 술을 마셨다'. 고 한다. 주지육림이라는 용어의 시초는 하나라 걸왕이 경국지색의 미모를 가.. 2021. 12. 7. 백미(白眉)의 뜻과 유래:) 마씨오상(馬氏五常) 마량 삼국지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인 백미(白眉)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한자를 살펴보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白(흰 백), 眉(눈썹 미) 백미의 한자를 직역하면 흰 눈썹이라는 뜻이 된다. 이 고사성어는 마 씨 오상(馬氏五常)이라고 불리는 마 씨 형제들의 일화와 연관된다. 삼국지연의 혹은 정사를 읽은 이들이라면 마량(馬良)과 마속(馬謖)이라는 인물을 기억할 것이다. 이 두 인물 외에도 마 씨 형제 세 명이 더 있는데 다섯 형제 모두 뛰어난 재주를 가졌다고 전해진다. 특히 이중에서 가장 뛰어난 재주를 가진 인물이 바로 마량이었다. 이 마량이라는 인물은 흰 눈썹을 가진 인물로 이에 빗대어 가장 뛰어난 재주를 가진 이를 칭하는 말이 바로 백미가 되었다. 촉나라 초대 황제인 유비는 적벽대전이 끝난 후 형주의 뛰어난 인물.. 2021. 12. 4. 읍참마속( 泣斬馬謖)의 뜻과 어원, 유래는? 읍참마속.. 이 용어는 삼국지에 나오는 대표적인 고사성어로 제갈량과 그의 수제자인 마속과 관련된 극적인 일화를 담고 있다. 먼저 한자를 살펴보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泣(울 읍), 斬(벨 참), 馬(말 마), 謖(일어날 속) 읍참마속을 직역하면 "울면서 마속을 벤다"라는 뜻으로 풀이되는데... 제갈량과 마속의 일화에 따르면 "법을 행함에 있어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고 엄격하게 집행해야 법의 위엄이 선다"라고 해석해볼 수 있다. 또한, "더 큰 목표를 이루기 위해 아끼는 물건을 버린다"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마속은 "백미"라는 고사성어로 잘 알려진 마량의 넷째 동생이다. 젊은 나이에 뛰어난 능력으로 주요한 요직을 거쳐 제갈량의 신임을 얻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람을 보는 눈이 뛰어난 유비는 마속.. 2021. 12. 4. 이전 1 ···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