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고사성어24

와신상담 뜻, 유래, 한자 풀이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와 월나라 간의 싸움에서 전해진 고사성어인 와신상담에 대해 살펴보자. 춘추시대 오나라와 월나라는 국경이 접해 있어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와신상담이라는 고사성어가 등장하게 되는데 우선 한자의 뜻을 먼저 살펴보자. 臥(누울 와), 薪(섶나무 신), 嘗(맛볼 상), 膽(쓸개 담) 와신상담을 직역해보면, '섶나무(땔감)에 웁고, 쓸대를 맛본다'로 해석된다. 즉 '어떠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다가오는 어떠한 고난도 참고 이겨낸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고사성어의 유래를 살펴보면 이해가 쉬운데, 원한을 갚기 위해 극도의 고통을 이겨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합려는 부국강병 정책으로 오나라를 강대국으로 변모시켰다. 그리고 초나라 원정길에 올라 수도 영까지 점령하였으나 진나라와 .. 2022. 1. 10.
함흥차사 뜻과 유래, 한자풀이 드라마 '태종 이방원'과 관련된 사자성어를 살펴보자. 여말선초를 배경으로 조선 건국 초기 야사에 '함흥차사'라는 사자성어가 등장한다. 이 사자성어는 조선 후기 지어진 야담집인 축수 편에서 전하는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이성계는 왕자의 난으로 신덕왕후 강씨의 소생인 세자 이방석과 그의 동복형 이방번이 살해되자 일선에서 물러나 고향인 동북면(함경도) 한 동안 떠나 있었다. 태종은 아들인 입장에서 함흥에 있는 아버지 이성계에게 명목상 차사를 보내 안부를 묻고 한양으로 돌아오라고 전했다. 이 과정에서 이성계는 옥쇄를 들고 함흥으로 떠나버렸는데 이방원은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아버지를 도성으로 모시고 옥쇄를 공식적으로 양도받을 필요가 있었다. 이성계는 아들이 자신에게 차사를 보내면 그들을 모두 활로 쏴.. 2022. 1. 9.
이전투구 뜻과 유래, 한자 풀이 교수신문은 '2021 올해의 사자성어'를 선정하기 위해 전국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묘서동처'가 선정되었다. 묘서동처는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는 뜻으로 도둑을 잡을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주요 내용은 아래 링크의 내용과 같다. 오늘은 '2021 올해의 사자성어' 가운에 3위를 기록한 이전투구의 한자성어를 살펴보고자 한다. 2021년 올해의 사자성어:) 묘서동처의 뜻, 유래, 한자는? 2021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묘서동처(猫鼠同處)'가 선정되었다. 묘서동처라는 사자성어는 매우 낯선 용어인데 과연 어떤 뜻을 지니고 있을까? 바로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라는 뜻을 가진 사자 lion343.tistory.com 이전투구의 한자 뜻은 다음과 같다. 泥(진흙 니), 田(.. 2022. 1. 6.
2021년 올해의 사자성어:) 인곤마핍 뜻, 한자, 유래는? 전국 대학교수를 8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의 사자성어는 '묘서동처(猫鼠同處)'가 선정되었다. 묘서동처는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는 뜻으로 도둑을 잡아야 할 사람이 도둑과 한 패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LH 직원들의 불법 행위와 같이 불평등을 야기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반영된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묘서동처'에 이어 인곤마핍(人困馬乏)이라는 한자성어가 2위로 선정되었다. 이 인곤마핍의 뜻과 유래 그리고 한자에 대해 살펴보자. 人(사람 인), 困(곤할 곤), 馬(말 마), 乏(지칠 핍)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사람은 피곤하고 말은 지쳤다"로 직역되는데 즉 먼 길을 달려와서 사람과 말이 모두 지쳐 피곤한 상태를 의미한다. 인곤마핍의 한자성어는 삼국지 유비의 이야기에서 유래된다.. 2021. 12.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