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한국史:)조선시대40 이성계의 부인들:) 신의왕후 한씨 태조 이성계의 첫 번째 부인이자 정비인 신의왕후 한 씨에 대해 살펴보자. 신의왕후 한 씨의 본관은 안변이며 증영문하부사 안천부원군 한경과 삼한국대부인 신 씨의 딸이다. 그녀는 이성계가 아직 벼슬을 하지 못하던 때에 영흥으로 시집와서, 이성계가 왕으로 등극하기 1년 전인 1391년에 5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남편이 전쟁터를 누비는 동안 가정의 대소사를 챙기며 영흥 땅에서 거주했는데, 어느날 이성계는 개성에 있는 고위 귀족 가문인 판삼사사 강윤성의 딸과 정략결혼을 하였다. 위화도 회군 당시 본거지인 동북면에 피신해 있다가 조선 건국 전에 사망함에 따라 강 씨가 조선 개국 이후 왕비가 되었다. 신의왕후 한씨의 소생으로는 이방우, 이방과(정종), 이방의, 이방간, 이방원(태종), 이방연 등 6남과 경신,.. 2021. 12. 20. 이성계의 아들들:) 영안군 이방과, 조선2대 국왕 정종(재위 기간, 가계도) 조선 2대 국왕 정종...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차남인 이방과에 대해 살펴보자. 용의 눈물을 즐겨봤던 시청자들이라면 이 이방과라는 인물은 순박하고 겁이 많은 인물로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항상 동생 방원의 눈치를 보면서 전전긍긍하고, 어쩔 수 없이 왕위에 올라 얼른 이 자리를 벗어나고 싶어 한다. 최근 드라마에서는 무인 출신인 이방과의 용맹스러운 모습을 좀 더 부각하고 있다. 과연 이방과는 어떤 인물일까? 고려말 이성계가 왜구 및 홍건적을 무찌르며 전공을 세울 때 약관의 나이로 유일하게 아버지의 곁을 지켰던 인물이 바로 이방과이다. 조선왕조실록 정종 실록 편에는 타고난 자질이 온화하고 인자하고 공손하고 공경하며, 용맹과 지력이 남보다 뛰어났다 한다. 고려에 벼슬하여 관직을 거듭해서 장상에 이르렀고, .. 2021. 12. 18. 이성계의 아들들:) 회안대군 이방간 이성계의 사남 회안대군 이방간에 대해 살펴보자. 회안대군 이방간은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 씨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판서찬성사 민선의 딸과 결혼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후 회안군에 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할 당시 삼남 이방의와 함께 자리를 지켰다. 무인으로서 기질이 상당했던 것으로 보이며, 드라마에서 동생 방원을 매우 시기 질투하는 것으로 묘사되곤 한다. 형들과 마찬가지로 이성계가 왜구나 홍건적 등을 토벌할 때 일부 참여를 했을 것으로 추론해볼 수 있다. 일부 사서에서는 둘째 이방과는 전장에서 참여한 기록이 있으며, 이방간은 동북면의 가별초를 통솔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하지만 이성계의 아들들이 역사에 등장한 것은 대부분 조선이 개국된 후 이야기가 다뤄지.. 2021. 12. 18. 이성계의 아들들:) 익안대군 이방의 KBS 대하드라마 '태종 이방원'이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가운데 등장인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여말선초 시기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의 아들들이 조선을 건국하는데 큰 공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성계의 장남 이방우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번에는 삼남 익안대군 이방의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이성계의 차남 영안대군 이방과는 무인정사(1차 왕자의 난 혹은 방원의 난, 정도전의 난이라고 불림) 이후 조선의 2대 국왕인 정종으로 등극한다. 정종에 대한 이야기는 뒤로 미루고 우선 익안대군 이방의에 대해 살펴보자. 익안대군 이방의는 태조와 신의왕후 한씨의 삼남으로 태어났다. 이방과의 동생이자 이방간과 이방원의 형으로, 왕자들 가운데 야심이 가장 적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한 후 이.. 2021. 12. 17. 이전 1 ···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