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고사성어

읍참마속( 泣斬馬謖)의 뜻과 어원, 유래는?

by 알풀레드 2021. 12. 4.
반응형

읍참마속.. 이 용어는 삼국지에 나오는 대표적인 고사성어로 제갈량과 그의 수제자인 마속과 관련된 극적인 일화를 담고 있다. 

 

<출처. KOEI 삼국지 게임(좌: 제갈량, 우: 마속) 일러스터>

 

먼저 한자를 살펴보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泣(울 읍), 斬(벨 참), 馬(말 마), 謖(일어날 속)

 

읍참마속을 직역하면 "울면서 마속을 벤다"라는 뜻으로 풀이되는데... 제갈량과 마속의 일화에 따르면 "법을 행함에 있어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고 엄격하게 집행해야 법의 위엄이 선다"라고 해석해볼 수 있다. 또한, "더 큰 목표를 이루기 위해 아끼는 물건을 버린다"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amp;lt;출처. KOEI 삼국지 공명전&amp;gt;

 

반응형

 

마속은 "백미"라는 고사성어로 잘 알려진 마량의 넷째 동생이다. 젊은 나이에 뛰어난 능력으로 주요한 요직을 거쳐 제갈량의 신임을 얻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람을 보는 눈이 뛰어난 유비는 마속이 말만 앞서는 인물로 쓰게 쓰일 인물이 아니라고 평했다. 제갈량의 유비의 말을 흘려듣고 마속을 특히 아꼈다고 하는데 훗날 이에 대한 대가를 톡톡히 치르게 된다. 

 

&amp;lt;출처. KOEI 삼국지 게임 일러스터(제갈량)&amp;gt;

 

제갈량은 유비 사후 한나라를 부흥하기 위해 위나라 정벌에 힘썼다. 유선에게 출사표를 제출하고 생전 총 5번의 북벌을 감행하게 되는데 이중 가장 가능성이 높았던 1차 북벌 때 가장 믿었던 마속이 사고를 쳐 실패하게 된다. 

 

&amp;lt;출처. KOEI 삼국지 게임 일러스터(마속)&amp;gt;

 

때는 226년... 위나라 황제 조비가 사망하고 조예가 황제로 등극한다. 역사적으로 황제나 군주가 사망하게 되면 정권이 바뀌는 과정에서 혼란이 일어나게 되는데 제갈량은 때를 놓이지 않고 227년 출사표를 올리고 즉시 북벌을 감행한다. 위나라는 조예 정권으로 교체되는 과정에서 촉나라에 대한 긴장을 사실상 놓고 있었고 갑작스러운 공격에 당황하였다. 

 

&amp;lt;출처. KOEI 삼국지 게임 일러스터(조예)&amp;gt;

 

제갈량은 1차 북벌을 진행할 때 원대한 대전략을 세웠다고 하는데... 우선, 조운을 기곡 방면으로 출진시켜 위나라 군의 눈을 돌렸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조진은 본대를 이끌고 조운과 대치하게 된다. 하지만 제갈량은 기산으로 진격하였고... 이 지역에 있는 이민족들을 포섭하고 옹주와 양주의 거점을 차례로 점령하였다. 제갈량의 전략대로 천수, 안정, 남안을 점령하고, 거점을 마련했다면 점진적으로 장안을 점령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amp;lt;출처. KOEI 삼국지 14 지도 참고&amp;gt;

 

제갈량의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전략적 거점은 바로 가정이다. 당시 이 가정을 방어하기 위해 오의나 위연 등과 같은 노련한 고참 장수를 배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제갈량은 마속을 배치하는 것으로 결정을 내린다. 제갈량은 절대적으로 이 가정의 길목을 지키라는 명령을 내렸다. 

 

<출처. KOEI 삼국지 게임 일러스터(좌: 위연, 우: 오의)>

 

마속은 왕평, 장휴, 황습 등의 부장들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가정에 도착한다. 현장을 둘러본 마속은 부장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제갈량의 명령을 지키지 않고 가정 인근에 있는 산 위에 진지를 꾸리게 된다. 반면, 위나라는 갑작스러운 촉나라의 기습에 즉시 옹주와 양주를 방어하기 위해 명장 장합을 투입한다. 당시 장합은 형주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급속행군으로 가정에 도착하였다.  

 

&amp;lt;출처. KOEI 삼국지 게임 일러스터(장합)&amp;gt;

 

가정에 도착한 장합은 촉나라 군의 진채가 산 위에 있는 것을 보고 어이가 없었다고 한다. 즉시, 장합은 물줄기와 보급로를 끊어버리고... 촉나라 군은 물을 마시지 못하고... 스스로 자멸하는 어이없는 결과를 맞이하게 된다. 당시 마속의 결정에 반발하여 독립적으로 진채를 꾸렸던 왕평을 제외하고 촉나라 군은 대부분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안정, 천수, 남안을 거의 지배했던 촉나라 군은 가정을 잃게 됨에 따라 모든 군대는 한중으로 퇴각하게 되었다. 제갈량이 자신 있게 북벌을 감행한 것에 대비하여 너무 안타까운 결과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amp;lt;출처. KOEI 삼국지 게임 일러스터(왕평)&amp;gt;

 

1차 북벌의 실패로 제갈량은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받게 된다. 마속의 배치는 오롯이 제갈량의 실책이기 때문이다. 또한, 촉나라 군의 사기를 위해 패전의 책임을 분명히 하여야 하기 때문에 마속의 처분은 정해져 있었다. 제갈량은 자신이 너무나 아끼는 수제자였지만 법의 엄격함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자신의 손으로 마속을 죽일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이야기가 바로 읍참마속이라는 고사성어를 낳게 된 유래가 된다. 

 

&amp;lt;출처. KOEI 삼국지 게임 일러스터(제갈량)&amp;gt;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