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한국史:)근-현대시대

삼일절

by 알풀레드 2022. 2. 28.
반응형

대한민국 5대 국경일 중 하나인 삼일절(3.1절)이 다가왔다. 삼일절은 일제강점기였던 1919년 3월 1일 토요일 일본제국주의에 항거해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독립선언일이다.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독립선언일'로 지정해 처음 국경일로 기념했다고 한다. 

 

 

반응형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독립선언일'을 국경일로 지정하면서 내무부 포고 제1호를 통해 3월 1일을 대한민국이 부활한 성스러운 날로 규정했다. 그리고 1946년 미군정 시기 군정법률 제2호를 통해 국가경출일로 지정되었으며 1949년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통해 임시정부의 국경일 전통을 계승했다. 즉 삼일절 정신은 대한민국 건국 정신에 중요한 위치에 놓인 것이다. 

 

출처. 항거

 

역사적으로 1910년 8월 29일 일본 제국에게 대한제국이 강제로 합병 당한 후 일제의 만행으로 힘든 시기를 보냈다. 대한제국의 민중들은 독립의 열망을 가지고 살았다. 1919년 1월 고종황제가 사망했는데 일본에 의해 독살 당했다는 소문이 퍼졌다. 이에 반일 분위기가 고양되었으며 독립운동가들은 서서히 독립 운동을 준비했다. 

 

출처. 항거

 

민족대표 33인은 독립 선언서를 작성한 후 3월 1일 2시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동하고 만세 시위 운동을 일으키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일본제국 경찰에 의해 주요 인사들이 연행되었고, 취소될 위기에 처했으나 경신학교 출신 정재용이 기미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거리로 나가 만세 시위 운동을 벌였다. 수 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나와 만세 시위 운동을 했고, 이를 진압하기 위해 일본 헌병과 기마부대가 나섰다. 

 

출처. 항거

 

3월 1일 시작된 만세 운동이 전국적으로 퍼져나가자 일본은 강압적으로 진압하면서 학살 사태가 속출했다. 이 만세 운동 때 일제의 학살 장면이 세계적으로 퍼져나가자 일본에 대한 과잉진압에 대한 비판이 있기도 했다. 대한민국 독립을 위해 몸 바친 독립운동가를 위해 삼일절의 의미를 한번 되짚어 보면 좋을 것 같다. 

 

출처. 항거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